본문 바로가기
경제

방산·반도체 핵심 소재 품귀 현상 심화

by jadongread 2025. 3. 10.
방산·반도체 핵심 소재 품귀 현상 심화

방산·반도체 핵심 소재 품귀 현상 심화: 비스무트 가격 역대 최고치 경신

최근 반도체, 배터리, 첨단 무기 제조에 필수적인 희소금속인 안티모니와 비스무트 가격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 심화로 인해 중국이 수출 통제에 나서면서 발생한 현상입니다.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의 수출 통제는 국내 기업들의 희소금속 수급에 큰 불안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희소금속 가격 폭등 현황

  • 비스무트: 반도체, 방탄유리, 탄약 제조 등에 사용되는 비스무트 가격은 2025년 3월 5일 기준 ㎏당 77.16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5년 1월 3일 13.23달러에서 불과 두 달 만에 약 6배 상승한 수치입니다.
  • 안티모니: 탄약, 미사일, 포탄 제조 등 방산 핵심 소재인 안티모니 가격은 2024년 1월 19일 t당 1만3300달러에서 2025년 2월 28일 6만2000달러로 약 4.7배 상승했습니다.
  • 인듐: 디스플레이 패널, 태양광 패널 등에 사용되는 인듐 가격은 1년 전 t당 260달러에서 2025년 3월 5일 400달러로 약 53.9% 상승했습니다.

중국의 수출 통제 배경

중국은 세계 희소금속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며, 미국의 '관세 폭탄'에 맞서 수출 통제에 나섰습니다. 중국 정부는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부과하자, 비스무트, 인듐, 텅스텐 등 5개 희소금속의 수출을 규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중국이 희소금속을 무기화하여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산업계의 위기 및 대응

희소금속 가격 폭등과 수급 불안은 국내 주요 산업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반도체, 배터리, 디스플레이, 방산 등 국내 주요 산업은 희소금속 없이는 생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은 다음과 같은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재고 확보: 기업들은 희소금속 비축 물량을 점검하고 추가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 수입처 다변화: 중국 외 수입처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국내 생산 확대: 고려아연, LS MnM 등은 희소금속 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희소금속의 중요성

희소금속은 첨단 무기,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 산업의 핵심 소재입니다. 예를 들어, F-35 스텔스 전투기에는 417㎏, 이지스함에는 2358㎏, 버지니아급 핵잠수함에는 4172㎏의 희소금속이 사용됩니다. 스텔스 전투기에는 상대편 전파를 흡수하는 인듐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는 탄두 보호재로 사용되는 베릴륨이 사용됩니다.

향후 전망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지속되는 한, 희소금속 가격 폭등과 수급 불안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기업들은 희소금속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정부는 희소금속 비축 및 국내 생산 확대를 위한 지원을 강화해야 합니다.

희소금속 관련 추가 정보

  • 희소금속이란? 생산량이 적고 생산지가 한정된 금속으로, 미사일 등의 필수 재료인 안티모니, 반도체 및 2차전지 등에 쓰이는 리튬·몰리브덴, 희토류(란탄, 디스프로슘 등 17종) 등이 포함됩니다.
  • 국내 희소금속 생산 현황: 고려아연은 아연과 납 제련 과정에서 안티모니, 인듐, 셀레늄 등을 부산물로 생산하고 있으며, LS MnM은 셀레늄과 텔루륨을 생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