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시뉴스

250421 오늘의 9시 경제뉴스 요약

by jadongread 2025. 4. 21.

국내 주요 기사 4개

한·미 관세협상 2+2 회의 본격 시작

한·미 관세협상 24일 본격 시작…재무·통상장관 '2+2 회의'

작성자: 정영효, 김대훈 기자
입력: 2025.04.20
수정: 2025.04.21

📍 협상 개요

  • 4월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2+2 통상협의' 개최
  • 한국: 최상목 부총리(기재부), 안덕근 장관(산업부)
  •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
  • 미국의 상호·품목관세 철폐 또는 축소가 목표
  •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본격 협상 돌입

🇰🇷 한국의 전략

  • 자동차, 반도체 등 주력 수출품의 관세 최소화 추진
  • 미국산 LNG 및 항공기 구매 확대를 통해 무역흑자 축소 의지
  • 비관세 장벽 해소 논의에 전향적 입장: 배출가스 규제, 소고기 수입, 약가 산정 등
  • 미군 함정 공동 건조, 조선업 인력 지원 등 협력 가능성

🇺🇸 미국의 입장

  • 566억달러에 달하는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축소 요구 예상
  • 10% 기본관세, 15% 개별관세는 90일 유예 상태
  • 자동차 관세(25%)는 4월 2일부터 시행
  • 반도체도 국가안보 명목으로 조사 및 품목관세 추진

🗨️ 정부 입장 및 전략

  • 이번 회동은 '협상'이 아닌 '협의'로 규정
  • 속도전보다 의제 조율에 초점
  • '원스톱 쇼핑 협상'에는 선 긋기
  • 방위비 분담금 증액은 통상협상과 분리 대응
  • 알래스카 LNG 사업은 관세협상과 별개로 신중 접근

📝 마무리

한국 정부는 미국의 요구에 일방적으로 끌려가기보다는 자국의 이해를 지키면서도 미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이어가기 위한 신중한 접근을 취하고 있습니다. 한·미 통상 관계의 향방은 이번 협의를 통해 중대한 분수령을 맞이할 것으로 보입니다.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 인상 예정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 150원 인상

기자: 권용훈

입력: 2025.04.20 18:21 | 수정: 2025.04.21 00:58 | 지면: A2

요금 인상 개요

  • 기본요금: 1400원 → 1550원 (150원 인상)
  • 시행 시기: 2025년 6월 예정
  • 최근 인상: 2023년 10월 (1250원 → 1400원)

행정 절차

  • 경기도의회: 인상안 가결
  • 경기도 소비자정책위원회 심의만 남음
  • 정확한 적용일: 서울시·경기도·인천시·코레일 협의 후 이달 말 결정

요금 인상 배경

  • 서울교통공사 누적 적자 약 19조원
  • 2024년 당기순손실: 7241억원
  • 부채: 7조3474억원, 하루 이자 3억원 이상

근본적 해결책 필요

  • 무임승차 손실 연간 4000억원 추산
  • 무임승차 인원: 하루 약 751만 명(전체의 17%)
  • 정부 지원 필요성 강조
네이버 AI 쇼핑 앱, 다운로드 500만 돌파

네이버 AI 쇼핑 앱 500만 돌파…中 테무 압도

기자: 안정훈

입력: 2025.04.20 17:52 | 수정: 2025.04.21 00:38 | 지면: A12

주요 성과

  • 네이버플러스스토어, 출시 한 달 만에 다운로드 500만 건 돌파
  • 지난달 다운로드 약 284만 건으로 전체 앱 중 신규 다운로드 1위
  • 쇼핑 앱 중 테무를 앞지름

거래액 증가

  •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거래액 증가 예상
  • 디지털·가전 부문에서 가장 큰 폭의 증가
  • 기타 인기 부문: 식품, 생필품, 자동차·공구, 유·아동, 펫, 이미용

AI 기반 초개인화 전략

  • 이용자 쇼핑 패턴 학습 → AI 맞춤 상품 추천
  • 카테고리 전반에 고른 성장
  • 개인화 쇼핑 경험의 고도화가 주요 성장 동력

신선식품 부문 확장

  • 컬리와 협업해 신선식품 강화
  • 컬리, 연내 네이버플러스스토어 입점 예정
  • 새벽배송 시스템 통해 신선식품 거래액 확대 기대
롯데하이마트, PB '플럭스' 출시로 반전 노려

“삼성·LG에 의존해선 답 없다”…롯데하이마트의 파격 승부수

기자: 라현진

입력: 2025.04.20 17:51 | 수정: 2025.04.21 00:34 | 지면: A14

배경

  • 롯데하이마트, 2018년 이후 매출 반토막 (4조1126억원 → 2조3566억원)
  • 수익성 악화, 히트 상품 부재, 온라인 유통 확산 등으로 위기
  • 기존 대형 가전사 제품만 판매해선 한계

PB 브랜드 ‘플럭스’ 출시

  • 1~2인 가구 및 MZ세대 겨냥한 중소형 가전 위주 구성
  • 대표 제품:
    • 330L 냉장고: 44만9000원 (대형 냉장고 대비 1/3 가격)
    • 43형 QLED TV: 이동형 스탠드, 유튜브·게임 활용 최적화
    • 건타입 청소기: 필수 기능만 탑재해 20만원대

차별화 전략

  • 프리미엄 제품 중심 대형사 전략과 달리 ‘가성비’ 공략
  • 중소형 가전시장 선점 노림
  • 무상 서비스 기간 확대:
    • 소형가전: 3년
    • 대형가전: 5년

향후 계획

  • 주방, 생활, 계절가전 등 다양한 PB 제품 지속 출시
  • 삼성·LG에 이은 제3의 국내 가전 브랜드로 키운다

해외 주요 기사 2개

세계 첫 로봇 하프마라톤, 중국 톈궁 우승

사람처럼 경쟁하며 뛰었다…21㎞ 마라톤 완주한 中로봇

작성자: 김은정 기자 | 날짜: 2025.04.20

📍 세계 최초 로봇 하프마라톤 개최

  • 일시 및 장소: 4월 19일, 중국 베이징 이좡 경제기술개발지구
  • 참가: 휴머노이드 로봇 21대, 시민 9000여 명
  • 코스: 총 21.0975km (직선, 회전, 경사 포함)
  • 트랙 구분: 일반 참가자와 로봇 각각 진행

🏃 1위 로봇 '톈궁'…사람처럼 달렸다

  • 개발사: 베이징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센터
  • 완주 시간: 2시간 40분 42초
  • 특징: 키 180cm, 무게 52kg, 시속 8~10km로 안정적인 달리기
  • 배터리만 3번 교체, 로봇 교체 없이 완주
  • 상금: 5000위안 (약 97만 원)

🤖 다양한 로봇, 다양한 결과

  • 참가 로봇: 유니트리 G1, 쑹옌파워 N2, 베이징과학기술대 小巨人 등
  • 결과: 21개 중 톈궁만 제한 시간 내 완주
  • 완주 실패 사례: 출발 직후 전도, 역주행 등
  • 작년보다 향상된 속도: 최고 시속 12km

🧠 기술력과 의미

  • 톈궁의 알고리즘: 인간 마라톤 주법 모방
  • 중국의 로봇 기술 과시…“로봇 굴기” 강조
  • 혁신센터 구성: 국유기업(43%) + 샤오미 + 유비테크

👉 중국은 이번 대회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력을 과시하며, 향후 로봇 산업에서의 주도권 확보를 노리고 있습니다.

힘 세진 베선트…힘 빠진 머스크

힘 세진 베선트…힘 빠진 머스크

입력: 2025.04.20 17:57 | 수정: 2025.04.21 09:16 | 지면: A10

기자: 김동현

국세청장 대행 갈등…트럼프, 베선트 손 들어줘

  • 트럼프 대통령이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손을 들어주며 국세청장 대행 교체.
  • 베선트는 자신이 추천한 마이클 포겐더 부장관을 국세청장 대행으로 임명.
  • 일론 머스크가 밀었던 게리 섀플리는 나흘 만에 교체됨.
  • 뉴욕타임스(NYT)는 “베선트가 트럼프를 설득한 결과”라고 보도.

머스크, 점점 영향력 상실

  • 머스크는 정부 내에서 소외되는 분위기. 최근 국방부 방문도 트럼프 지시로 취소됨.
  • 정부 주요 인사에 측근을 배치하려 했으나, 장관들까지 불편함을 표함.
  • 로라 루머가 베선트를 비난하자 머스크가 SNS에서 동조해 갈등 표면화.

베선트, 관세 정책에서도 입지 강화

  • WSJ에 따르면,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도 베선트와 러트닉 상무장관이 트럼프를 설득해 발표.
  • 피터 나바로의 부재 중에 정책 방향을 이끌며 존재감 과시.